전통음악(17)
-
[일본인들이 묘사한 조선통신사]
인터넷 커뮤니티에 [일본인들이 묘사한 조선통신사] 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사진 중 일부이다. 취타 악대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된 그림이다. 악기의 이름을 달아보았다. 현행과 다른 의복이 눈에 띈다. 아래 링크는 '조선통신사와 음악' 관련 기사. http://www.kookje.co.kr/news2011/asp/newsbody.asp?code=0500&key=20130312.22020184351
2019.02.04 -
경기민요 오봉산타령 칼림바와 함께 Kyonggi Province folk song Obongsan Taryeong(Obong mountain song) with Kalimba
경기민요 오봉산타령 칼림바 반주Kyonggi Province folk song Obongsan Taryeong(Obong mountain song) with Kalimba
2019.02.01 -
국악실내악 개구리와 개구리와 개구리가 (2018)
작곡가 한진구의 동물 프로젝트 중 첫 번째 작품입니다. 개구리 관련 설화, 개구리의 움직임, 개구리 소리, 개구리 음악 등을 모티브로 구성하였습니다. 연주 황수빈 가야금 양민정 대금 안상혁 피리 김민경 해금 박은서 해금 정현수 아쟁 안유진 타악
2019.02.01 -
춤추는 아이
춤추는 아이, 《단원 풍속도첩》●다른 명칭 | 무동, 《단원 풍속도첩》, 舞童●국적/시대 | 한국-조선●재질 | 종이●작가 | 김홍도●분류 | 문화예술 - 서화 - 회화 - 일반회화●크기 | 세로 26.8cm, 가로 22.7cm●지정문화재 | 보물 527호 소리와 춤으로 한참 흥이 난 마당입니다. 북, 장구, 피리, 대금, 해금 연주자들이 둥그렇게 앉아 연주하는 가운데 무동이 두 팔을 신나게 휘저으며 춤을 추고 있습니다. 인물들은 각자의 춤과 연주에 몰두하며, 또는 앞 연주자나 무동을 주시하며 흥겨운 한 판을 벌이고 있습니다. 그림, 글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https://www.museum.go.kr/site/main/relic/search/view?relicId=553 대금장구북, 좌고피리해금무동
2019.01.31 -
내 그림 - 아쟁 연주 2019.01.29
-
내 그림 - 해금 연주 2019.01.29